신경현 / 1973년생 / 공공운수노조 대경지부 조직부장 


신경현 2 1,157

​​

  

지상의

,

한 칸

바람이 불고 난데업이

비가 들이쳐도

끄떡없던

,

한 칸

대추나무가 있었던가

묻지 않아도

눈을 감고 찾아갈 수 있던

,

한 칸

부서진 세간살이와 뜯겨진 담벼락

울고있는 목소리들은

이제

꼿꼿이 설 수 없는 것들이다

어차피 가난이야 어쩔 수 없는 거라고

녹슨 숟가락 젓가락이 발길에 채이며

말한다

슬픔은

파도 파도 바닥을 드러내지 않는 법이라고

운동화 한 켤레 땅 속에 묻혀 말한다

맵고 매운 세상을

등에 짊어지고 떠나간 사람들

남은 사람들도 세상이 맵긴 마찬가지

,

한 칸

썩썩 비벼 함께 먹던 골목길의 밥이 있던

끄덕 끄덕

잘 가라 내일 보자 헤어지던

언덕베기 끝에 이별도

자연스레 자리 잡고 앉아 있던

,

한 칸은

어딥니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박상화
무성영화시대의 영화들을 보면 말한마디 없이도 모든 상황이 설명된다. 말은 꼭 필요할 때만 한줄씩 나오는게 좋다. 시는 말로 만들어지는 예술이지만, 말로 묘사를 하는 건 무성영화와 같다.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설명하지 않아도 독자는 이해한다. 쉽게 예를 들면, (무성영화는 아니지만) 남녀가 한방에 앉아 촛불을 끄면 그 다음장면이 부엉이가 나와도 (설명하지 않아도) 일이 어떻게 되어가는지 다 안다.

이 시는 그런 묘사에 치중했다. 철거라는 말이 한마디 나오지 않아도 (또는 태풍이나 지진이라는 말도) 집이 그 집에 살던 사람들과 골목의 삶을  묘사하고 있다. 이런 시는 좋다. 독자의 상상력을 풍부하게 한다. 다만, 마지막 부분에 집으로 끝났으면 좋았을 것을 어딥니까라고 묻는 것은 묘사와 중복이 되는데다 설명하고 잇는 사족이 된다. 어디냐고 묻지않아도 이미 시 행마다 그런 집이 어디에 있느냐고 계속 묻고 있기 때문이다. ('한칸'이란 표현이 작아도 좋은 살 집을 찾는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난데업이 -> 난데 없이
언덕베기 -> 언덕배기
신경현
지나치면 모자란 것 보다 못한다고 생각은 하지만 늘 생각만 하다가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 고맙습니다^^
카테고리
반응형 구글광고 등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1 명
  • 오늘 방문자 27 명
  • 어제 방문자 373 명
  • 최대 방문자 6,807 명
  • 전체 방문자 522,891 명
  • 전체 회원수 15 명
  • 전체 게시물 15,811 개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