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화1968년생 / 편의점

입춘立椿

박상화 1 1,119

 

 

잔설殘雪 몇 점 가지에 물드네

잎이 트고 꽃도 피겠네

 

고단한 추위를 견디느라

한 켜 단단해진 몸이

물을 끌어 올리는 날

 

나는 새처럼 나네

하늘의 경계가 어디인지 아시는가

땅에 박힌 발바닥의 윗쪽

 

숲은 언제나 낯설고

나는 익숙한 진창을 건너네

 

하늘은 발등까지 내려오고

발목까지 푹푹 내려오고

 

그래도

진창이라서 서 있고

진창이라서 건너지 않는가

 

나는 잔설殘雪처럼 나네

가지에 물들어

꽃이 피겠네

 

 

2016.2.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박상화
* 춘椿 : 옥편에는 참죽나무 춘이라 나와 있지만, 일본인들은 동백나무를 椿이라 썼다고 하고, 장자에 나오는 대춘大椿은 팽나무라고도 한다. 장자의 고사에 대춘大椿​은 봄 8천년, 가을 8천년을 살아 일만6천년을 살았다 하니, 오래사는 나무를 가르켜 椿이라 하고, 상대방의 아버님께서 오래 사시라고 춘부장椿府丈이라 부른다. 팽나무는 한자로 박朴을 쓰고, 팽목彭木(중국의 팽조라는 사람이 800살까지 살았다 하여 오래사는 나무를 지칭함), 또는 박수朴樹라고 하는데, 우리가 아는 박수무당이 마을 당산나무인 팽나무 앞에서 굿을 한다 하여 박수무당이다.
각설하고, 보통의 입춘은 立春을 써서 봄이라 하는데, 나는 겉멋이 들어 立椿이라 썼다. 장하게 서 있는 팽나무 생각도 났고, 아버지처럼 우뚝한 나무생각도 났고, 나무가 사람과 닮았다는 생각도 있어서 였다. 오래 사는게 대수는 아니지만, 오래 산 나무들은 신령한 기운을 준다. 그런 큰 나무가 드디어 일어 설 날을 기리고 싶은 행려자의 마음으로 椿을 썼다. 큰나무처럼 일어서는 아버지들을 기리는 마음도 있었다. 시기적으로 입춘立春이 가까웠고 내용상으로도 입춘立春의 이야기이긴 하다.
진창에 발이 푹푹 빠지는 무거운 마음으로 쓰기 시작했지만, 이내 새처럼 가벼운 마음이 되었다가 차분해 졌다. 삶은 힘겨운 것이지만, 그래도 진창이니 서 있을수는 있구나, 늪이거나 바다였으면 이미 빠져 죽었을 것을. 그런 생각도 났고, 봄이 오면 왠지 느껴지는 오르는 기운, 명랑하고 상쾌한 걸음의 느낌도 있었다. 아무튼, 힘겨운 나날들을 관통하는 분들아, 입춘날이라도 기운을 내었으면 좋겠다. 조울증처럼 병이라도, 괜히 기분좋아 발걸음이 가벼이 우쭐거리는 날도 한번쯤 있었으면 좋겠다. 
모든 날들은 거짓말이다. 거짓말이었고 거짓말일 것이다. 오늘은 될까, 오늘은 될까 믿고 움직여 보지만, 또 속고 또 속는다. 하루도 희망에 벅차고 미래가 환한 날이 없다. 그래도 봄바람에 미친듯이 우쭐한 잠시라도 있기를 바란다. 속는 줄 알면서도 걸어갈 힘을 얻기 바란다. 포기하면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은 폐기를 의미하며, 폐기는 가족의 해체를, 그리고 산죽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눈 말똥말똥 뜨고 고통을 느끼는 산죽음은 얼마나 참혹한가. 포기하는 순간이 생사의 순간이다. 사는 건 죽는 것보다 어렵지만, 지는 것보단 쉽다. 고양이한테, 애한테, 신문배달원한테, 두부장수한테는 져도, 자본에는 지지 말아야 할 이유가 거기에 있다.
카테고리
반응형 구글광고 등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2 명
  • 오늘 방문자 172 명
  • 어제 방문자 414 명
  • 최대 방문자 2,936 명
  • 전체 방문자 462,864 명
  • 전체 회원수 15 명
  • 전체 게시물 15,811 개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